학업성취도 평가 지원 포털

  • 학업성취도 평가란?

    학업성취도 평가란?

    국가에서 정한 교육과정에 근거해 학생들의 교육목표 달성 정도를 평가하는 준거참조평가로,
    인지적·비인지적 평가 결과를 바탕으로 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지원할 수 있는 자료를 산출합니다.

    • 평가 유형

      개별 학생의 전인적 성장 지원

      • 성취도 평가 교과별 성취수준,
        영역ㆍ역량별 성취율 제공
      • 비인지적 영역 설문 사회ㆍ정서적 역량 등
        비인지적 특성에 대한 정보 제공
      • 학업성취도 평가

     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ㆍ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
      교육과정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!

     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

      우리나라 전체 학생 중 약 3%를
      층화 군집 표집하여 평가 대상을 선정

      • 평가 대상 학교 표집
      • 표집 학교 교육과정 이수 현황 조사
      • 평가 대상 학급 표집 및 평가 신청
      • 평가 시행
      • 채점 및 평가 결과 제공
      자세히 알아보기

      맞춤형 학업성취도 자율평가

      희망하는 모든 학교에서 학급 단위로 평가 계획을
      수립하여 평가에 참여할 수 있음

      • 평가 시행 계획 수립
      • 평가 신청
      • 평가 시행
      • 평가 결과 제공
      • 희망하는 모든 학교가 지정 평가기간 중 자율적으로 참여
      • 자율평가 지원 학년은 연차적으로 확대
      자세히 알아보기
    • 평가틀

     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
      학생의 성취도 평가를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 기반의 3차원의 평가틀을 적용함

      3차원 평가틀 이미지 영역 역량 맥락
      • 영역 : 교과의 교수학습 내용을 평가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내용 영역을 재구성한 것
      • 역량 : 교과에서 중점적으로 기르고자 하는 능력(역량)을 평가하기 위해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과 역량을 재구성한 것
      • 맥락 : 문제 해결을 위한 상황을 설정한 것

      [평가틀에 따른 교과별 세부 평가 요소]

      평가틀에 따른 교과별 세부 평가 요소
      교과 영역 역량 맥락
      국어
      • 듣기ㆍ말하기, 읽기, 쓰기, 문법, 문학
      • 비판적ㆍ창의적 사고 역량, 자료ㆍ정보 활용 역량, 의사소통 역량,
        공동체ㆍ대인관계 역량, 문화 향유 역량, 자기 성찰ㆍ계발 역량
      담화 텍스트, 문학 텍스트, 비문학 텍스트
      수학
      • (초) 수와 연산, 도형, 측정, 규칙성, 자료와 가능성
      • (중,고) 수와 연산, 문자와 식, 함수, 기하, 확률과 통계
      • 계산ㆍ이해, 추론, 문제 해결, 의사소통, 정보 처리
      실생활 중심, 학문 중심
      영어
      • 듣기, 말하기, 읽기, 쓰기
      • 영어 의사소통 역량, 지식정보처리 역량, 공통체 역량
      개인적, 사회적
      사회
      • 지리, 역사, 일반사회
      • 사실과 개념 이해력, 정보 활용 능력, 비판적 사고력, 문제 해결력 및 의사 결정력
      개인적, 지역ㆍ국가적, 전 세계적
      과학
      • 운동과 에너지, 물질, 생명, 지구와 우주
      • 과학 원리의 이해 및 적용 능력, 과학적 탐구 및 문제 해결력,
        과학적 의사소통 능력
      실생활, 순수과학
    • 성취수준

      학업성취도 평가에서는 학생의 교과별 성취수준, 즉 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에 대한 도달 정도를 4수준부터 1수준까지 4개의 수준으로 구분하여 제시하고 있음.

      성취수준[교육과정에 제시된 성취기준(achievement standards)에 도달한 정도]

      • 평가 대상 학년의
        학생들이 도달하기를
        기대하는 교육과정
        성취기준의 거의 모든 부분을 이해하고 수행한다.

        4수준
      • 평가 대상 학년의
        학생들이 도달하기를
        기대하는 교육과정
        성취기준의 상당 부분
        을 이해하고 수행한다.

        3수준
      • 평가 대상 학년의
        학생들이 도달하기를
        기대하는 교육과정
        성취기준을 부분적으로
        이해하고 수행한다.

        2수준
      • 평가 대상 학년의
        학생들이 도달하기를
        기대하는 교육과정
        성취기준을 이해하고
        수행하기 위해서 많은
        노력이 필요
        하다.

        1수준
  • 정부정책

    정부 정책

    학업성취도 평가에 대한 초ㆍ중등교육법 및 교육부 정책 안내

    • 법령 및 규정

      『초ㆍ중등교육법』 제9조 및 동법시행령 10조,
     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제45조(교육부 소관) 제3항 제4호

      『초ㆍ중등교육법』 제9조(학생ㆍ기관ㆍ학교 평가)

      • (제1항) 교육부장관은 학교에 재학중인 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를 측정하기 위한 평가를 할 수 있다.
      • (제5항) 평가 대상 기관의 장은 특별한 사유가 있는 경우가 아니면 제1항부터 제3항까지의 규정에 따른 평가를 받아야 한다.

      ※ 특별한 사유 : 지진ㆍ폭우ㆍ폭설 등의 천재지변, 법정 전염병 발생 등

      『초ㆍ중등교육법 시행령』 제10조(학생의 평가)

      • 학업성취도 평가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교육부장관이 정한다.

      행정권한의 위임 및 위탁에 관한 규정 제45조(교육부 소관) 제3항 제4호

      • 『초중등교육법』 제9조 제1항에 따라 실시되는 학업성취도 평가의 출제, 문제지 인쇄, 채점, 분석 및 성적통지에 관한 사항은 한국교육과정평가원에 위탁한다.

      “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방안” 발표(‘21. 6. 2)

      (역량 중심 평가) 미래 사회 역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반 평가(CBT) 도입

      (자율평가) 희망하는 모든 학교(급)가 지정 평가기간 중 자율적으로 평가 참여

      ※ 단, 대표성 있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ㆍ발표를 위해 표집평가(중3, 고2 대상 3%)유지

      (대상 확대) 자율평가 지원 학년을 연차적으로 확대

      • (’22) 초6, 중3, 고2 → (‘23) 초5ㆍ6, 중3, 고1ㆍ2 → (’24 ~) 초3 ~ 고2

      (측정ㆍ정보 제공 영역 확대) 학습 뿐만 아니라 사회ㆍ정서적 역량, 자기효능감 등 다양한 영역에 대한 측정 및 정보 제공을 통해 학생의 안정적 성장 지원

      “학업 성취 수준 향상 지원 방안“ 발표(’22. 6. 14)

      정밀한 학력진단시스템 마련

      • (컴퓨터기반 평가 전면 도입) 기존의 지필형 평가에서 탈피하여 학생들의 문제해결력, 정보처리역량 등 미래 사회 역량을 측정할 수 있도록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* 전면 도입(’22.9월~) * 미디어 활용, 애니메이션 도구 조작 등 기술공학적 기능을 활용하여 실제 맥락에서 문제를 해결하는 다양한 문항 유형 제공
      • (희망하는 모든 학교에 지원) 평가 참여를 신청한 모든 학교(학급)가 교과 수업 시간 등 원하는 시기에 평가를 실시할 수 있도록 평가도구 지원
      • (AI기반 학력진단시스템 단계적 구축) 학생별·영역별 진단내용을 빅데이터로 구축하고, ‘디지털 교수·학습 통합플랫폼’과 연계하여 학생 개인별 맞춤형 학습 지원
    • 추진 목적 및 방향

      추진 목적

      학교 교육성과점검하고 교육정책 수립, 교수ㆍ학습방법 및 교육과정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 확보

      미래사회가 요구하는 창의ㆍ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역량 중심 학업성취도 평가 및 학생 성장 정보 제공

      추진 방향

      • 실제적 맥락에서 학생들의 역량을
        다양한 방식으로 좀 더 타당하게 측정할 수 있는
        컴퓨터 기반 평가 전면 도입
      • 교육과정 질 관리 및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
        국가 수준의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산출
      • 단위학교의 교수학습 지원을 위해
        희망 학급에서 자율적으로 학생의 학업성취도를
        진단할 수 있는 평가 지원

      주요 변경 사항

      정부 정책 추진 관련 주요 변경 사항
      구분 이전 2022년
      목적
      • 교육과정 질 관리 및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
      • 교육과정 질 관리 및 교육정책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 확보
      • 개별 학생 맞춤형 진단 결과 제공 및 교수학습에의 환류
      대상
      • 중3, 고2 학생의 표집 3%
      • (표집) 중3, 고2 학생의 3%
      • (자율) 초6ㆍ중3ㆍ고2 희망학교 학생
      • ※ 평가 대상은 연차적으로 확대 예정임.
      방법
      • 지필평가
      • 컴퓨터 기반 평가(CBT)
      결과분석 활용
      • 국가단위, 학교단위, 학생단위 결과 제공
      • (표집) 국가단위, 학교단위, 학생단위 결과 제공
      • (자율) 학교단위(선택), 학급단위, 학생단위 결과 제공
    • 추진 체계

      단계별 기관의 역할

      추진 체계 단계별 기관의 역할
      단계 기관별 역할
      평가 준비
      • (교육부) 학업성취도 평가 기본 계획 수립
      •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 평가 도구 개발 및 홍보, 단위학교 시행 환경 점검 등
      • (시도교육청) 평가 시행 안내 및 홍보 협조
      • (학교) 평가 계획 수립, 평가 환경 점검
      평가 신청ㆍ승인
      • (학교) 평가 온라인 신청 및 평가 환경 구축
      •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 평가 신청 결과 확인 및 승인, 시행 아이디 생성 및 안내 자료 제공
      평가 시행
      • (학교) 평가 시행 전 관리자 및 감독교사 역할 숙지, 평가 시행
      •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 평가 시행 모니터링 및 지원, 콜센터 운영
      평가 결과 산출 및 제공
      • (한국교육과정평가원) 평가 결과 산출 및 평가결과표 제공
      • (학교) 평가 결과 확인 및 교수학습에 환류
    • 로드맵

      학업성취도 평가 발전 로드맵

      • 2019

        고등학교 역량 평가 시행

        •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
          평가 시행(중)
      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
          평가 시행(고)
        • 컴퓨터 기반 평가 시스템
          개발을 위한 ISP 추진
      • 2020

        역량 평가 전면 시행

      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
          평가 시행(중, 고)
        •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
          컴퓨터 기반 평가
      • 2021

        컴퓨터 기반 평가 시범 시행

        •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 평가
          시스템 구축
        • 지필 및 컴퓨터 기반 평가
          병행 시행
      • 2022

        컴퓨터 기반 평가 전면 시행

        • 컴퓨터 기반 학업성취도
          평가 전면 시행
        • 자율평가 도입
          (초6, 중3, 고2)
      • 2023

        자율평가 확대 적용

        • 자율평가 대상 확대
          (초5,6, 중3, 고1,2)
        • AI 학력진단시스템 구축을
          위한 ISP 추진
      • 2024

        AI 학력진단시스템 구축

        • 자율평가 전면 적용
          (초3~고2)
        • AI 학력진단시스템 개발
          추진